본문 바로가기
재난&안전 뉴스

[스크랩] 기업재난관리자가 하는일과 필요한 자격증,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by 석금철(石今喆) 2016. 6. 15.
<기업재난관리자>가 하는 일과 필요한 자격증,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유망직업]미리보자

2016.06.09. 11:17

복사 http://bsjobgo.or.kr/220731554501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첨부파일 (1)

-

미래를 함께 할 새로운 직업

기업재난관리자

#신직업 #고용정보원 #미래형직업 #청년일자리 #자격증 #향후전망 #관련대학 #부산잡고보자






puuung_02-1

제2차 정부 육성지원 신직업,

기업재난관리자에 대해 알아볼게요~

 


 

 

 

  

 기업 차원에서 각종 재난 발생 시 사고대응 및 2차 피해방지는 물론 기업활동의 사업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무자 활동,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을 위한 컨설턴트 활동, 그리고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평가 활동을 수행한다. 



​기업재난관리자는 기업이 재난을 통해

받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략계획, 경감계획, 사업연속성확보계획,

대응계획, 복구계획 등을 수립하고

사고대응 및 사업연속성 관리를 수행합니다



puuung_02-19

수행 직무는 기업재난관리자 안에서도

단계별로 차이가 있는데요~


 


 



실무분야 담당자

기업에 채용되어 재난관리 실무를

주로 담당하게 되고



대행분야 담당자

재해경감활동계획을 세우고

수행하는 컨설턴트 등으로 활동합니다



마지막으로 인증평가 담당자

수립해 둔 재해경감활동계획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업무를 수행하죠!







"전문기업 소속 종사자는 30여 명"

우리나라의 기업재난관리자는

재해경감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설팅 업체에 소속되어


컨설턴트로 활동하거나, 기업 및 기관의

관련 부서에서 재난관리분야 실무자

주로 활동하게 됩니다


 



다만, 조직 내에서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은 아직 소수에 불과하다고 하네요!


현재 파악되는 종사자 수는

전문기업 종사자 기준으로 봤을 때

약 30명정도라고 합니다



기업재난관리자 실무 분야 자격 취득자는

400여명(2015년말 기준)으로

컨설팅 업무 분야가 활성화되면

종사자 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적합한 사람은? ○


전자, 전기, 정보통신, 토목, 건축,

도시공학 등의 전문 분야에서

재난관리를 접목할 수 있는 사람


○ 필요한 자격은? ○ 

 

기업재난관리사 등

국가 및 민간 자격증을 취득하면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된다


 ○ 필요한 공부는? ○

 

기업재난에 대한 전문지식과

컨설팅 기술을 함께 공부하는 것이 좋다


 ○ 어디서 준비해요? ○

 

기업재난 관련 전문 자격

교육기관이나 대학 및 대학원에서

관련 내용을 배울 수 있다


 ●대학 관련 학과 : 인천대 기업재난안전관리공학과 l 충북대 안전공학과 l 서울과학기술대 안전공학과 l 숭실대 기업재난안전관리공학과 

 ●대학원 과정 :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기업재난안전관리학과 l 성균관대 일반대학원 방재안전공학협동과정 l 강원대(삼척) 방재전문대학원 l 연세대 공학대학원 내 방재안전관리전공 l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내 방재공학전공 l 경기대 건설·산업대학원 내 소방도시방재전공 l 광운대 특수대학원 내 재난안전과리전공


 ○ 활동영역 및 진출분야 ○

 

재해경감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설팅업체, 기업 및 기관의

재난관리 부서에서 주로 활동한다






puuung_02-2


향후 전망으로는​

기업이 존립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위기와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재난의 종류도 더욱 다양해지면서


점차 안정적으로 정착할 가능성

높은 직업입니다 :)




puuung_02-12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기업은 재해경감활동 계획 수립을

3년마다 재수립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puuung_02-38

정책적으로 기업이 재해경감활동 등을

의무적으로 수립해야 하는 상황이라

직업적 발전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죠



 

 

다만, 재무적 관점에서 볼 때

기업들의 재난관리에 대한 투자는

아직 소극적인 편입니다


 

또한 최고경영자들이 재난관리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도

이 분야 전문가의 일자리 확대와

안정적 채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출처 : 우석대 기업재난관리자 영남교육원(tel. 055-355-1608)
글쓴이 : 영남교육원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