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재난관리사 이모저모

[스크랩] 기업재난관리사 개요

by 석금철(石今喆) 2017. 4. 19.

기업재난관리사 직무개요


기업 차원에서 각종 재난 발생 시 사고대응 및 2차 피해방지는 물론 기업활동의 사업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무자 활동,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을 위한 컨설턴트 활동, 그리고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평가 활동을 수행한다.

 



기업재난관리사 주요직무


▲ 기업의 재난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 기업을 분석해 목표와 목적을 명확히 하고 재난관리 정책과 법적 요구사항을 정립한다.
▲ 기업의 핵심업무를 파악하기 위한 업무영향분석(BIA) 업무를 수행한다.
▲ 기업의 위험을 식별, 분석하고 물리적, 기술적, 시설적, 경영적 등 취약성평가와 발생 빈도와 영향의 크기 등을 통한 위험성평가를 통해 핵심 리스크를 산정한다.
▲ 기업의 주요위험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운영한다.
▲ 기업의 요구수준을 감안한 사업연속성전략을 수립하고 위협완화조치 프로세스와 사고대응구조를 도출한다.
▲ 기업의 재난(사고)대응 체계와 사업에 연속성 확보계획을 수립한다.
▲ 수립된 재난(사고)대응 체계와 사업연속성 확보계획에 대한 모의훈련의 계획수립, 수행준비, 수행 및 평가를 수행한다.
▲ 기업의 재해경감활동 및 사업연속성 절차에 관한 모니터링 및 평가, 내부감사를 수행한다.
▲ 기업의 재해경감활동에 관한 지속적인 개선과 문화확산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기업재난관리사 수행직무


피해 줄이는 전략부터 복구까지
기업재난관리자는 기업이 재난을 통해 받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략계획, 경감계획, 사업연속성확보계획, 대응계획, 복구계획 등을 수립하고 사고대응 및 사업연속성 관리를 수행한다.


수행 직무는 기업재난관리자 안에서도 실무분야(기본단계), 대행분야(중급단계), 인증평가분야(고급단계)로 단계별로 차이가 있다. 실무분야 담당자는 기업에 채용돼 재난관리 실무를 주로 담당하게 되고, 대행분야 담당자는 재해경감활동계획을 세우고 수행하는 컨설턴트 등으로 활동할 수 있다. 인증평가 담당자는 수립해 둔 재해경감활동계획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해외현황


1980년대 재해복구 분야 교육 실시
미국의 기업재난관리표준에서는 기업재난관리자의 주요 업무인 ‘기업재해경감활동’을 ‘사업연속성관리’라고 부른다. 사업연속성관리는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재해복구 사이트를 운영한 것으로 시작돼 이 분야 컨설턴트에 대한 수요를 발생시켰다.


초기의 업무는 데이터 처리 또는 기업경영정보시스템 운영에 초점을 맞추는 등 기술적인 면에 치중돼 있었다. 그러다 미국의 재해복구기구(DRI; Disaster Recovery Institute)가 설립되면서 교육과 인증 업무가 시작됐고, 1993년에는 기업재해경감활동을 하는 사업연 속성 전문가 자격증이 신설됐다. 1994년에 설립된 BCI(Business Continuity Institute)에서는 기업재난 관리 표준역량을 제정했다.

 


해외에서 기업재난관리자의 역할을 하는 직업은 주요 수행업무에 따라 DRP컨설턴트, BCP컨설턴트, BCM 컨설턴트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은 기업 경영 및 기획 관련 부서에서 기업재난관리자로 활동하거나 컨설턴트로 활동한다. 외국의 대기업에는 별도의 기업재난대응팀이 있는 경우도 있다.

 

국내현황


전문기업 소속 종사자는 30여 명
우리나라의 기업재난관리자는 재해경감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설팅 업체에 소속돼 컨설턴트로 활동하거나, 기업 및 기관의 관련 부서에서 재난관리 분야 실무자로 주로 활동한다.

 

다만, 조직 내에서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은 아직 소수에 불과하다.
소수이지만 IT컨설팅 회사를 중심으로 재해복구센터 구축 등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컨설턴트도 있다. 또 은행 등 금융권의 리스크 관리부서, 일반 기업의 총무 팀·안전 환경팀, IT기업 및 기관의 정보운영팀 등에서 활동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다른 업무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재난관리를 한다고 해서 다른 근로자들과 근로조건에서 차이가 있는 건 아니다. 각 기업의 임금수준에 준하는 월급을 받지만, 국가 전문 자격 취득에 따른 자격 수당 등이 지급될 수도 있다.

 


현재 파악되는 종사자 수는 전문기업 종사자 기준으로 봤을 때 약 30명이다. 기업재난관리자 실무 분야 자격 취득자는 400여 명(2015년말 기준)으로 컨설팅 업무 분야가 활성화되면 종사자 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출처 : 우석대 기업재난관리자 영남교육원(tel. 055-355-1608)
글쓴이 : 영남교육원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