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 뉴스

[스크랩] 항공기가 활주로에서 이륙하는데 필요한 거리는 얼마일까요?

석금철(石今喆) 2014. 6. 19. 05:26

//
 


활주로(Runway)는 항공기 이․착륙을 위해 사용되는 비행장내 육상의 표면으로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으며, 간혹 자연상태(풀밭 등) 그대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공항마다 이런 활주로 길이가 다 같을까요?


아마도 인천공항처럼 큰 공항은 활주로 길이가 길 것이라는 느낌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면 인천공항 제3활주로 길이는 4,000m 입니다. 인천공항 제1·2 활주로가 3,750m인 점을 감안하면 250m나 길어진 것입니다. 활주로를 길게 만든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항공기가 추진력을 얻는 원리는 기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기온이 높아지면 활주로 부근의 공기밀도가 떨어져 항공기가 빨아들이는 공기량과 압축량이 줄어듭니다. 이 때문에 항공기가 이륙을 위한 충분한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더 오래, 더 멀리 달려야만 하는 것입니다.


여름에 항공기의 활주거리가 길어지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 입니다. 인천공항은 제3활주로를 설계하면서 2040년경에는 평균기온이 지금보다 4℃가량 올라갈 것으로 전망했다고 합니다. 다가올 미래의 온도 변화에 미리 대비한 셈인 것입니다.


이렇게 항공기가 이륙할 때 필요한 활주로 길이는 항공기의 종류, 온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 국내공항에서 취항중인 항공기가 활주로에서 이륙하는데 필요한 거리는 어느 정도 일까요?

모든 항공기가 국내에 있는 모든 공항에 자유롭게 뜨고 내릴 수 있을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물론 여기에는 항공기를 뜨고 내릴 당시에 미치는 주위환경도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모든 표준조건을 충족한다고 가정한다면, 가장 이륙활주로 길이가 많이 필요한 국내 민간 항공기는 약 3,155m 거리가 필요한 보잉 747-400 기종입니다.


또한, 가장 짧은 거리가 필요한 기종은 약 1,615m가 필요한 보잉 737-500 기종입니다.


그리고 국내공항 중 가장 긴 활주로를 갖고 있는 곳은 인천공항 제3활주로로 4,000m이며, 가장 짧은 활주로를 갖고 있는 곳은 울산공항 활주로로 인천공항 활주로의 반인 2,000m입니다.


이렇게 짧은 활주로를 갖고 있는 울산공항인 경우에는 인천, 김포, 제주공항에 취항하는 항공기보다 작은 항공기가 운항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내 항공사에서 운영중인 주요 항공기가 이륙하는데 필요한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최대좌석수1)

이륙활주길이2)(m)

착륙활주길이3)(m)

A300-600R

276

2,600

1,717

A320-200

162

2,075

1,434

A321-100

195

2,153

1,560

A330-200

258

2,577

1,720

A330-300

375

2,655

1,794

B737-400

148

2,118

1,490

B737-500

117

1,615

1,356

B737-600

161

2,316

1,609

B737-800

189

2,550

1,800

B737-900

193

2,482

1,700

B747-400

418

3,155

2,067

B767-300

260

2,256

1,497

B777-200

310

2,903

1,588

B777-200ER

310

2,903

1,588

B777-300

376

3,048

1,824


 1) 좌석수는 동일기종 중 최대로 운용중인 좌석

 2) 이륙활주거리는 해면고도, 15℃에서 최대이륙중량 최대플랩 사용할 때의 거리

 3) 착륙활주거리는 해면고도, 15℃, 젖은 활주로에서 최대이륙중량 최대플랩 사용할 때의 거리


※ 참고 : 국내 공항별 활주로 길이

 

인천

김포

제주

김해

청주

양양

대구

무안

광주

군산

여수

원주

사천

울산

포항

수량

3*

2

2

2

1

1

2

1

2

1

1

1

2

1

1

길이

4,000m 1본

 

3,750m 2본

3,600m 1본

 

3,200m

1본

3,090m

1본

 

1,910m

1본

3,200m

1본

 

2,743m

1본

2,744m

2,500m

2,755m 1본

 

2,743m 1본

2,800m

2,835m 2본

2,743m 1본

2,100m 1본

2,743m 1본

2,743m 2본

2,000m 1본

2,133m 1본


 

 

출처 : 국토해양부

출처 : 경북안실련
글쓴이 : 천년사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