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활동

[스크랩] 체류객 지원대책.항공기 대기표 배정 시스템 개선해야

석금철(石今喆) 2016. 1. 28. 01:06

체류객 지원대책.항공기 대기표 배정 시스템 개선해야[제주공항 항공 대란 문제점과 과제는] 道.공항공사 제주본부 유기적인 협조체계 제도화 절실

김현종 기자 | 승인 2016.01.26

25일부터 제주국제공항 항공 운행이 정상화가 되면서 체류객 수송작전이 시작된 가운데 26일 제주국제공항을 빠져 나가지 못한 체류객들이 대기발표 카운터에서 자신들의 이름이 호명되기를 기다리고 있다.<박재혁 기자 gamio@ jejuilbo.net>

제주특별자치도가 이번 항공 대란을 계기로 공항 체류객을 돌보고 지원하는 등의 대응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으로 가다듬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다.

폭설이나 강풍으로 항공기가 전면 결항될 때마다 제주국제공항은 말 그대로 아수라장으로 변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지만 대응 시스템은 여전히 미흡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항공기 전면 결항으로 갈 곳을 잃은 승객을 위한 체류 지원 시스템이 부실한 데다 항공기 대기표를 배정받기 위한 승객들의 밤샘 대기사태에 대한 적절한 대책도 없는 실정이다.

▲체류 지원 시스템 미흡=제주에 32년만의 기록적 폭설이 내린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항공기 1200여 편의 운항이 전면 중단됐다. 그 결과 23일 2만명과 24일 3만8736명, 25일 3만8264명 등 승객 9만7000여 명이 제주공항을 떠나지 못하는 항공 대란이 빚어졌다.

숙소를 구하지 못한 승객 등이 제주공항에서 박스를 깔고 잠을 청하는 ‘공항 노숙’ 사태가 빚어졌고 비행기 티켓을 구하기 위한 승객들의 대기행렬은 마치 도떼기시장을 방불케 했다.

제주도와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는 지난해 1월부터 악천후에 따른 공항 내 체류관광객의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종합관리상황실을 운영하고 있지만 협조체계 미흡과 인원 초과로 이번에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는 모포와 음식물 제공, 교통편 연계 등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인원이 최대 500명 기준으로 설정돼 있어 이번 항공 대란 대응에는 한계를 노출했다.

오히려 제주도와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는 간식 제공 시간과 난방비 부담 등을 놓고 이견을 드러내는 등 우왕좌왕하는 모습으로 상호 협조체계가 미흡한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이에 따라 항공 대란 상황과 단계에 따라 체류객에 대한 편의 제공부터 이동, 숙박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응 시스템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폭설을 비롯한 자연재난에 따른 제주도의 현행 표준행동 매뉴얼에는 항공 대란과 관련한 내용은 없는 실정이다.

이 과정에서 제주도와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와의 상호 유기적인 협조체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가 체류여객 대책 매뉴얼을 운영하고 있지만 이번 항공 대란에서는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점도 이 때문이다.

▲불합리한 항공기 대기표 배정=이번 항공 대란에서 ‘공항 노숙’이 발생한 원인 중 하나는 항공기 대기표를 구하기 위한 경쟁이다. 제주공항에서 운항할 예정이던 항공편들이 차례로 취소되면서 승객들은 대기표를 구하기 위해 공항에서 쪽잠을 자는 불편도 마다하지 않은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일부 항공사들이 선착순으로 대기표를 주는 시스템이 항공 대란 상황에서는 밤샘 공항 대기사태를 조장하는 등 매우 불합리하기 때문에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 과정에서 일부 항공사는 비행기 결항을 알리는 문자 서비스조차 보내지 않은 채 운송약관을 들이대며 책임을 회피하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여 승객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항공기 전면 결항이라는 비상사태에서는 승객들이 공항에 나오지 않고도 대기편을 배정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예컨대 결항 순서대로 대기번호를 나눠준 뒤 항공기 운항이 정상화되면 몇 시간 전에 알려줘 승객이 공항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면 불합리한 대기표 전쟁을 막을 수 있다는 식이다.

재난분야 전문가인 석금철 부산대 교수는 “제주공항의 대란 사태가 2~3일 더 길어졌다면 응급환자 발생도 불가피했을 것이다. 컨트롤타워는 부재했고 국민안전처 대응은 무능했다”고 심각성을 지적한 후 “국가와 지자체의 재난 대응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재정비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현종.변경혜 기자

출처 : 석금철교수의 안전강좌
글쓴이 : 안전지킴이 원글보기
메모 :